1. 세의득효방과 동의보감에 소개된 공진단
"기의 순환을 바르게하여 오장을 스스로 조화롭게 한다."
"간이 허하여 근육은 늘어지듯 힘이 없고, 얼굴에 혈색이 없으며 눈이 어두울 때 쓴다."
공진단은 世醫得效方에 오장을 스스로 조화롭게 하는 보약으로 처음 소개된 이후, 東醫寶鑑에서 간이 허하여 근육은 늘어지듯 힘이 없고 얼굴은 혈색이 없으며 눈이 어두울 때 효과가 있다고 언급된 보약입니다.
2. 공진단 구성약재
공진단은 녹용, 당귀, 산수유, 사향으로 이루어진 환제입니다.
기본 처방은 위에서 언급한 4가지 한약만을 이용하지만, 증상에 따라 인삼, 숙지황, 육계, 부자, 침향 등을 가감하여 활용하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기본처방에 들어가는 약재들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녹용
녹용은 숫사슴의 털이 뻑뻑히 자라있고, 아직 골질화되지 않았거나 약간 골질화된 어린 뿔을 자른 뒤 말린 것을 사용합니다. 녹용은 양기의 근원이 되는 신장기능이 약해 양기가 부족할 때 양기를 보해주고, 부족한 혈액 및 체액을 보충해주며, 뼈와 근육을 튼튼히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2) 당귀
당귀는 참당귀의 뿌리를 이용하는데, 혈액으로 인한 모든 병증을 치료한다고 알려져있을만큼 중요한 한약재입니다. 혈액순환을 돕고 통증을 멎게 하여 주로 부인과 병증에 상용되는 약물입니다.
3) 산수유
산수유는 씨를 제거한 산수유나무의 잘 익은 열매로, 간과 신을 보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또한 산수유는 수렴작용을 통해 신장이 허해서 나타나는 유정, 월경과다, 땀의 배출량 증가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4) 사향
그리고 공진단 조제시 들어가는 한약 중 가장 유명한 사향은 난쟁이사향노루 또는 사향노루 수컷의 사향선 분비물로서
그 내용물을 꺼내어 말린 가루사향이나 주머니 모양의 사낭을 그대로 잘라내어 만든 주머니 사향을 말합니다.
사향은 따뜻한 성질로 체내의 막힌 곳을 뚫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진통효과도 나타내는 한약입니다.
사향은 수입가능한 양이 한정되어 있고 가격이 비싸 공진단의 가격이 높게 책정되는 이유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3. 공진단의 효능
고서를 찾아보면 공진단은 오장을 조화롭게 하고, 간의 문제로 나타나는 창백한 안색, 어두침침한 눈, 축 늘어진 근육을 치료하는 보약으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현대의 실험방법을 통해 고서에 적힌 공진단의 간 보호 작용이 입증되었고 다른 여러 효능도 알려졌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과 알코올로 손상된 간 모델에서 간 보호 효과가 있다는 논문이 발표되었고, 중추신경계 보호 및 진정능력, 기억력 증진 및 항우울, 항불안 효과 또한 밝혀졌습니다. 그 외에도 염증매개물질의 생산을 억제하여 항염작용과 면역반응을 감소시키는 효능도 뛰어나다고 합니다.
4. 공진단의 부작용
다양한 효능을 가진 보약이기에 부작용이 있지는 않을까 걱정하실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지 공진단에 대한 부작용은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안심하고 복용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임산부와 중증질환, 암, 신장투석을 하시는 분은 복용에 주의하셔야하는데요.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따르면 사향은 부인의 난산, 태아가 3개월 이전에 유산된 것 등을 치료하기 때문에 임산부의 경우 자궁 수축에 작용할 수 있어 복용을 금해야 합니다.
본 내용은 한울림 자료를 재구성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한방의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황 청심환의 모든 것 (0) | 2022.02.24 |
---|---|
피로 회복의 명약, 경옥고 (0) | 2022.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