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2

가짜뉴스 - 사례 2. 가짜뉴스의 사례 가짜뉴스의 종류와 유형은 매우 다양하지만, 대체로 대중의 관심사를 기술한다. 20대 청년을 비롯한 수십만 취업 준비생의 주요 관심사인 취업과 공무원 시험과 관련한 가짜뉴스도 나타났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5·18 유공자가 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10% 가산점 특혜를 받아 대부분의 취업 준비생이 낙방한다는 기사였다. 이 기사가 나타난 직후 광주시청 5·18민주화운동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에는 전국에서 항의 전화가 이어졌다. 공무원 학원가를 중심으로 ‘10% 가산점 받는 금수저, 5·18 유공자 귀족대우’ 등의 전단이 나돌면서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였다. 하지만 10%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유공자는 182명에 불과하고, 5% 가산점 대상도 2739명뿐이다. 5·18유공자 가족.. 2022. 2. 24.
가짜뉴스 - 사회적 영향력 1. 가짜뉴스의 사회적 영향력 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실제 뉴스 기사의 1% 정도의 가짜 뉴스가 유포된다고 가정했을 때, 이로 인한 경제 손실 비용의 규모는 연간 약 30조 900억 원을 이를 것으로 추선한다. 즉, 국내에서 소비되는 뉴스의 1%가 가짜로 채워질 경우 국내총생산(GDP)의 1.9%에 이르는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가짜뉴스는 경제 규모나 사회적 영향력이 매우 크다. 하지만 예전의 가짜뉴스는 지금과는 양상이 다르다. 이전의 해외 연구들을 살펴보면, 지금과는 달리 어떤 사실을 과장 왜곡 등을 통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풍자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다. Harrington(2012)의 연구에서는 기사형 광고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었는데 실제로는 뉴스가 아닌데 뉴스의 형식을 모방하는 TV 뉴스로.. 2022.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