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건강

청소년 자해에 대한 9가지 오해

by 필기꾼 2020. 5. 5.

주변에 자해를 하는 청소년이 있나요? 있다면, 우리는 그 사람을 어떻게 바라보나요? 조금은 무섭다거나 이상하다고 느낄 수도 있고, 피해야겠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잘못된 생각을 없애기 위해, 청소년 자해에 대한 9가지 오해를 알아보겠습니다.


 

1. 매우 아픈 사람만 자해를 한다.

 

거짓 인구 중 약 1%의 사람들이 자신을 압도하고 무기력하게 하는 상황 또는 감정에 대처하는 방식으로 신체적인 자해를 합니다.

 

2. 자해하는 청소년들은 한 번 이상 자살을 하려 시도하지만, 그럴 용기가 없다.

 

거짓 자해하는 청소년의 일부가 자살을 시도하거나 생각하지만, 대부분의 자해하는 청소년은 죽기 위해 자해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들은 자해를 삶의 고통에 대처하는 한 가지의 방법으로 여기며, 일부는 습관이 되어 끊을 수 없었다고 말합니다.

 

3. 사람들이 자해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진실 자해의 정의는 고의로 자신을 다치게하는 일 즉, 신체적 훼손을 불러일으키는 것입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지만, 가장 자주 사용되는 방법은 칼로 베거나 피부에 화상을 입히는 것입니다.

 

4. 자해하는 사람들은 제정신이 아니고, 병원에 입원시켜야 한다.

 

거짓 대부분 자해로 인한 상처는 삶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며, 의학적 처치가 필요없습니다. 일부 청소년들은 단기간 동안 병원으로 보내지는데, 이는 어른들이 두려움을 가지고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입원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자해하는 청소년들 중 다수는 자신의 삶을 통제하려고 하는데, 원하지 않는 입원은 그들의 감정을 악화시키며, 상황이 나빠지면 더욱 심한 자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문가의 판단 하에 입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입원시키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이들은 자해의 정도가 심하거나 자살의 위험이 있는 경우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5. 자해하는 청소년들은 단지 관심을 받으려는 것일 뿐이다.

 

거짓 일부 청소년들은 자신의 감정적 문제에 대해 관심을 받기 위해 자해를 시작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들 중 다수가 이러한 행동은 도움을 요청하고 긍정적으로 관심을 받기 위한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자해를 하는 청소년들 중 다수는 어른들, 특히 부모님께 자신의 상처와 행동을 숨기기 위해 노력합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자해가 위장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6. 자해한 상처는 학교에서 집단에 소속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거짓 일부 청소년들이 자해하는 다른 청소년들과 무리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집단에 소속되기 위한 방법으로 자해를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동병상련이라는 말처럼, 자신이 불행하다고 느끼는 청소년들이 비슷한 감정을 느끼는 청소년과 어울리는 것에 더 편안함을 느끼기도 합니다.

 

7. 다른 심각한 정신적인 문제를 가진 청소년들만 자해를 할 것이다.

 

거짓 자해를 하는 청소년들 중 일부에게는 오랜 시간 지속된 다른 심각한 문제가 있을 수도 있지만, 모두에게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해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8. 상처가 표면적인 것이라면, 자해는 단지 한 양상에 지나지 않는다.

 

거짓 자해의 심각성은 감정과는 거의 관련이 없습니다. 모든 사람들은 고통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가 다르며, 각기 다른 자해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상처의 깊이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만약 청소년이 자해를 한다면, 이는 매우 심각하게 여겨야 합니다.

 

9. 여학생과 남학생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자해한다.

 

진실 일반적으로 자해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주 발견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여학생들이 자해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이지, 자해하는 남학생의 수가 적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직접적인 방식으로 자해를 하는 양상을 보이고, 남학생들은 자해할 때 간접적인 방법을 더욱 많이 시도하며 위험한 스포츠와 같이 위험도가 높은 행동으로 자해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합니다.

 


 

여러분의 생각과 얼마나 차이가 있었나요? 위에 적힌 내용만큼이라도 숙지해서, 자해에 대한 편견이 조금이라도 줄어들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내용은 국군수도병원 정신병동에서 학습한 내용을 발췌 및 편집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댓글